인쇄가이드

인쇄 가이드

무선
실이나 철사 같은 부가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풀만으로 책을 엮는 방식으로, 실로 엮는 공정이 없어 대량생산에 가장 알맞다. 오늘날 생산되는 책은 제책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일반적으로 이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무선철본은 양장이나 반양장보다 내구성이 떨어져 간혹 책등이 분리되거나 책장이 흩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독서 시 책이 잘 펴지고 종이가 잘 넘겨가 가독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트지 [art paper] (두산백과) 발췌]
양장
무선제본(책 등 쪽의 면에 칼집을 내서 접착제를 투과하여 접합하는 제본)의 칼집이 들어간 곳에 실로 한번 더 꿰매고 두꺼운 합지나 가죽류 등의 하드커버를 사용하여 붙인 튼튼한 제본입니다.
* 용도 : 단행본보다 전집류, 장기간 보관해야 하는 책, 고급스럽고 특수한 책
* 견고성 : 양장제본 > 반양장제본 > 무선제본
[네이버 지식백과] 발췌
반양장
무선제본(책 등 쪽의 면에 칼집을 내서 접착제를 투과하여 접합하는 제본)의 칼집이 들어간 곳에 실로 한번 더 꿰매서 튼튼하게 만든 제본입니다.
* 특징 :
1. 일반 무선제본보다 두껍고 보관기간이 긴 고급스러운 책에 주로 사용
2. 양장과 거의 같지만 표지로 하드커버가 아닌 소프트커버로 씀
[네이버 지식백과] 발췌
중철
인쇄지를 겹쳐놓고 책장이 접히는 가운데 부분을 실이나 철사로 맨 다음 테두리 3면을 재단하는 제책 방식으로, 최근에는 실로 꿰매지 않고 간단하게 스테이플러로 철심을 박아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다. 휴대성이 좋기 때문에 잡지를 만들 때도 사용하지만, 카탈로그·광고지·브로슈어·팸플릿 등 두껍지 않고 오래 보관할 필요가 없는 일회성 책을 제본할 때 주로 사용한다. 중철본은 두꺼운 쪽수일 때 안쪽이 바깥쪽 면보다 튀어나와 미관상 형태가 좋지 않고 재단을 다시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공정이 간단하고 휴대성이 좋으며 책을 쉽게 펼치고 넘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책 제본 방법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발췌
스프링(트윈 링)
책의 표지와 내지에 각지거나 둥근 구멍을 일렬로 뚫고 철사를 앞뒤로 엮어 제책하는 방법으로, 제안서·보고서·교재 및 수험서·노트·동화책·수첩 등에 많이 사용된다. 책을 펼쳤을 때 양 페이지가 어긋나지 않고 균형 있으며, 책등이 없지만 책등 역할을 하도록 특수한 표지를 만들 수 있다. 책의 표지와 내지에 일일이 구멍을 뚫어야 하며 잘못 뚫었을 때 파손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책장을 넘길 때 360° 회전하기 때문에 쉽게 펼쳐지고 휴대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책 제본 방법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발췌
상철
노트의 스프링 제본이나 화일의 레버장식이 위에 있는 형태입니다.
▶노트가 상철 제본일 경우 좌철에 비해,
* 장점 : 필기할 때 손에 스프링이 닿지 않아 사용하기 편리
* 단점 : 위로 넘기기 불편, 접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기 좁음
[네이버 지식백과] 상철 (쇼핑용어사전) 발췌
좌철
노트의 스프링 제본이나 화일의 레버장식이 왼쪽에 있는 형태입니다. 노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연습장과 노트로 많이 사용합니다.
▶노트가 상철 제본일 경우 일반 노트와 비교하면,
* 장점 : 뒤로 넘겨서 사용하여 사용 공간을 줄일수 있음
* 단점 : 접어서 사용시 스프링이 손에 걸려 필기가 불편
[네이버 지식백과] 좌철 (쇼핑용어사전) 발췌
실제본
실제본은 중철제본과 같은 방식이지만 스테이플러가 아닌 실로 묶어주는 제본 방식입니다
180도로 펼침이 가능하여 튼튼한 제본에 자주 사용되며 필기할 때 사용감이 편합니다
다이어리 수첩 노트등 사용됩니다